Hook 없이 React 개발을 한다면?
오늘은 React 개발에 빼놓을 수 없는 Hook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이론적인 이야기에서 벗어나, Hook이 없었다면 어떻게 개발을 했을지.
그리고 어쩌다 React는 hook을 도입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Hook의 등장 배경
Hook은 React Conf 2018에서 발표되었으며, React 16.8부터 새롭게 추가된 기능입니다.
그렇다면 Hook은 어떤 이유로 등장하게 되었을까요?
React는 Hook이 등장하기 전의 문제점을 3가지로 제시하는데요. 각각의 문제점을 함께 보면서 등장 배경을 살펴보겠습니다.
❗️ 참고로 이번 글은 TODO 앱 코드를 예시로 드는데요. 크게 Hook이 없는 class 컴포넌트 vs Hook을 활용한 함수형 컴포넌트으로 나눠 구현 코드를 비교해보겠습니다.
1. 컴포넌트 사이의 로직을 파악하기 어려운 HOC 패턴
이전에, React는 컴포넌트 간의 재사용할 수 있는 로직을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기존에 개발자는 render props나, 고차 컴포넌트와 같은 HOC 패턴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했습니다.
그렇다면 HOC와 클래스 컴포넌트를 활용한 코드를 보겠습니다.
const withToast = (WrappedComponent) => {
return class extends React.Component {
state = { toasts: [] };
addToast = (text) => {
const newToast = { id: Date.now(), text, isPopup: true };
this.setState((prevState) => ({
toasts: [...prevState.toasts, newToast],
}));
setTimeout(() => {
this.setState((prevState) => ({
toasts: prevState.toasts.filter((toast) => toast.id !== newToast.id),
}));
}, 3000);
};
render() {
return (
<WrappedComponent
toasts={this.state.toasts}
addToast={this.addToast}
{...this.props}
/>
);
}
};
};
const withTasks = (WrappedComponent) => {
return class extends React.Component {
state = { tasks: [] };
componentDidMount() {
this.fetchTasks();
}
fetchTasks = async () => {
const response = await getTasks();
this.setState({
tasks: response.sort((a, b) => b.createdDate - a.createdDate),
});
};
render() {
return (
<WrappedComponent
tasks={this.state.tasks}
fetchTasks={this.fetchTasks}
{...this.props}
/>
);
}
};
};
class Home extends React.Component {
render() {
const { tasks, toasts, addToast } = this.props;
return (
<div>
{tasks.map((task) => (
<Task
key={task.id}
task={task}
isSelected={selectedTodo === task.id}
onClick={handleTodoClick}
onUpdate={this.handleTodoUpdate}
onDelete={this.handleTodoDelete}
addToast={addToast}
/>
))}
{toasts.map((toast) => (
<Toast key={toast.id} type={toast.text} />
))}
</div>
);
}
}
위 코드를 보겠습니다. 투두 리스트 홈페이지에서 Toast를 띄우고, Task를 불러오는 로직은 여러 번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1) withToast와 2) withTasks 의 로직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컴포넌트로 만듭니다.
export default withTasks(withToast(Home));
최종적으로 Wrapper 형태로 만들고, 저희는 Home에 두 가지 로직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위에서 사용한 HOC 패턴이란, 특정 컴포넌트의 로직이 여러 컴포넌트에서 사용될 경우를 대비해서 로직을 분리한 뒤, Wrapper 형태로 감싸 하나의 페이지 컴포넌트를 구축하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반복되는 로직을 여러 계층을 통해 전달하는 이러한 방법엔 문제가 존재하는데요. 바로 래퍼 지옥 (Wrapper Hell)입니다. 재사용되는 로직을 Wrapper 형태로 둘러싸는데, 만약 이 개수가 늘어나는 경우 아래와 같은 최악의 중첩 형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는 하나의 페이지에서 사용된 로직을 찾기 위해 수 많은 계층을 검색해야하기 때문에, 가독성이 매우 안 좋습니다. 또한 유지보수적인 측면에서도 로직을 파악할 수 어려울 수 있겠네요.
이러한 복잡한 형태의 재사용 구조를 해결하기 위해, 재사용되는 로직을 상태로 추상화하는 Hook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여러 계층에 걸친 복잡한 변화 없이 상태 관련 로직을 재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const Home = () => {
const [todoList, setTodoList] = useState([]);
const [toastPopup, setToastPopup] = useState([]);
const fetchTasks = useCallback(async () => {
const response = await getTasks();
setTodoList(response.sort((a, b) => b.createdDate - a.createdDate));
}, []);
useEffect(() => {
fetchTasks();
}, [fetchTasks]);
const addToast = useCallback((text) => {
const newToast = { id: Date.now(), text, isPopup: true };
setToastPopup((prevPopups) => [...prevPopups, newToast]);
// 3초 후에 해당 토스트를 제거
setTimeout(() => {
setToastPopup((prevPopups) =>
prevPopups.filter((popup) => popup.id !== newToast.id)
);
}, 3000);
}, []);
return (
<div>
<div>
{todoList.map((todo) => (
<Todo key={todo.id} task={todo} />
))}
</div>
<div>
{toastPopup.map((toast, index) => (
<Toast toastType={toast.text} key={index} onClick={addToast} />
))}
</div>
</div>
);
};
export default Home;
위 코드는 훅을 이용한 익숙한 형태의 구조입니다. 위의 HOC 패턴과 다르게 로직을 하나의 파일 안에 관리함으로써, 코드 개별의 상태를 파악하기 더 쉬워졌네요.
2. 복잡한 생명 주기 메서드
우리는 때로 사이드 이펙트를 일으키는, 즉 다른 컴포넌트에 영향을 주는 데이터를 로딩하고 DOM을 조작하는 작업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작업을 생명 주기 메서드를 통해 관리하는데요.
Hook이 탄생하기 이전에는 3가지 생명 주기 메서드를 활용해 사이드 이펙트를 관리했습니다. 아래 코드처럼 말이죠.
class ComplexComponent extends React.Component {
state = { user: null, posts: [] };
componentDidMount() {
this.fetchUser();
this.fetchPosts();
}
componentDidUpdate(prevProps) {
if (this.props.userId !== prevProps.userId) {
this.fetchUser();
this.fetchPosts();
}
}
fetchUser() {
// 사용자 데이터 가져오기
}
fetchPosts() {
// 게시물 데이터 가져오기
}
render() {
// 렌더링 로직
}
}
위는 컴포넌트가 생성(componentDidMount)
되고, 업데이트(componentDidUpdate)
되고,
제거(componentWillUnmount)
할 때 특정한 로직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생명 주기를 활용한
코드 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사용자의 데이터를 가져오고(fetchUser), 게시물을 가져오는 로직(fetchPosts) 이 공통된 생명 주기 안에서 관리되기 때문에, 관련 없는 코드가 섞이는 문제를 발견할 수 있죠.
그렇다면, useEffect Hook을 사용해 관심사를 분리해보겠습니다.
function useUser(userId) {
const [user, setUser] = useState(null);
useEffect(() => {
// 사용자 데이터 가져오기
}, [userId]);
return user;
}
function usePosts(userId) {
const [posts, setPosts] = useState([]);
useEffect(() => {
// 게시물 데이터 가져오기
}, [userId]);
return posts;
}
useEffect hook을 통해 생명 주기 단위가 아닌, 기능 별로 렌더링 주기를 관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로써 하나의 함수 안에 하나의 기능을 담당하게 하는 무결성을 지킬 수 있게 된거죠!
3. Class 개념은 복잡해
class를 통해 click 이벤트를 감지하는 함수를 만들어 state를 관리하는 코드를 짜보겠습니다.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handleClick() {
this.setState({ clicked: true }); // 오류: Cannot read property 'setState' of undefined
}
render() {
return <button onClick={this.handleClick}>Click me</button>;
}
}
위 코드에서 handleClick
메서드 안에서 this를 통해 setState에 접근하려 했지만 오류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는 이벤트 핸들러 메서드 안에서 this를 통해 setState를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인데요.
this가 각각 어떻게 바인딩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class 안의, 전역 상황에서는 this는 class 자체를 바인딩하고 있기 때문에 setState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반면, 이벤트 핸들러 메서드 안에서는 this는 class 인스턴스가 아닌 이벤트 핸들러를 바인딩하고 있기 때문에 this를 통해 class 인스턴스인 setState에 접근할 수 없게 됩니다.
위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접 생성자에서 메서드를 바인딩해주거나 화살표 함수를 사용해야합니다. 아래처럼 말이죠.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handleClick = this.handleClick.bind(this);
}
handleClick() {
this.setState({ clicked: true }); // 정상 작동
}
render() {
return <button onClick={this.handleClick}>Click me</button>;
}
}
하지만 이렇게 직접 메서드를 생성자에서 바인딩하게 되면, 아래처럼 방대한 양의 코드를 마주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상상만 해도 손가락이 아프네요 🥲
class ConfusingHome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state = {
todoList: [],
selectedTodo: null,
isOldest: true,
toastPopup: []
};
this.handleInputComplete = this.handleInputComplete.bind(this);
this.handleTodoClick = this.handleTodoClick.bind(this);
this.handleTodoUpdate = this.handleTodoUpdate.bind(this);
this.handleTodoDelete = this.handleTodoDelete.bind(this);
this.handleTodoAllDelete = this.handleTodoAllDelete.bind(this);
this.handleOrderChange = this.handleOrderChange.bind(this);
this.addToast = this.addToast.bind(this);
}
이러한 혼잡한 Class에서 벗어나, Hook은 Class 없이 React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오히려 함수에 더 가까운 React 컴포넌트를 명령형 코드로 간결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Hook은 완벽할까?
React 16.8에 도입된 이후로, Hook은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빼놓을 수 없는 존재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많은 개발자 사이에서 Hook은 뜨거운 감자인데요. 아래 글을 통해서 React가 제시한 3가지 문제에 대한 Hook의 장점을 반박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React Pain Point 설문에서 볼 수 있듯이, 많은 사람이 useEffect, useCallback과 같은 Hook에 불만을 가지고 있는 걸 알 수 있는데요.
Hook에 대해서 생각해볼 점은 다양하게 있을 것 같습니다.
- useEffect는 생명 주기를 과도하게 추상화하기 때문에 오히려 생명 주기적인 흐름을 파악하기 어려워졌다는 점
- useEffect의 과도한 리렌더링
- 필요하지 않은 api 혹은 Hook의 그 외 함수까지 불러와 사용하게 된다는 점
- 정립된 class 개념을 기피하는 지나친 함수형 컴포넌트 추구
다양한 쟁점이 얽혀있는 문제이지만, 개발자의 입장에서 최대한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Hook을 잘 활용하는 것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럼 이렇게 Hook의 등장배경에 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